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의림 3월호 " 난소암"

서울 등록2008-02-01 조회4,060

본문

22_1.jpg
22_2.jpg
22_3.jpg
22_4.jpg
22_5.jpg
22_6.jpg
22_7.jpg
22_8.jpg
22_9.jpg
22_10.jpg
난소암(14)
최근 황우석 교수 문제로 사회가 시끄럽다. 바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진위성 여부 때문인데 이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여자의 난자이다. 여자는 일생동안 난소에서 약 400-500개의 난자를 만든다.
난소는 골반강 측벽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아몬드형 기관이다. 난소는 여성 생식체로서의 난자의 생산,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틴을 비롯한 여성호르몬의 분비, 뇌하수체 FSH 생산의 되먹이 제어에 관여하는 인히빈(inhibin) 분비 등의 역할을 한다. 각각의 난소의 위치는 난소간막과 한 쌍의 난소인대와 현수인대라는 지지인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난소동맥과 정맥은 현수인대 안으로 난소에 출입하는데 이 혈관들은 난소가 난소간막에 부착하는 곳인 난소문(ovarian hilum)에서 난소에 연결된다. 전형적인 난소의 크기는 대략 5㎝×2.5㎝이고, 무게는 6-8g이며 분홍색 또는 노란색을 띠고 있다. 각각의 난소를 덮고 있는 장측 복막인 배상피(germinal epithelium)는 백막(tunica albuginea) 위에 위치하고 있다. 난소의 내부조직은 천층의 피질과 심부의 수질로 세분될 수 있는데 생식체 생산은 피질에서 일어나게 된다.
난소는 난관과 접해 있는데 각 난관은 길이가 약 13㎝인 속이 빈 근육성 관으로 누두, 팽대부, 협부의 세 구역으로 세분된다. 난관의 상피층은 산재된 점액분비세포들을 가진 섬모원주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점막은 동심원 평활근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난자 수송에는 섬모 움직임과 난관벽의 연동수축의 조합이 관여한다. 난관은 최종적인 성숙과 수정을 위해 성숙 난모세포를 운반한다. 일반적으로 난자가 팽대부에서 자궁 안으로 이동하는데 3-4일이 소요되며 수정이 일어나려면 난자는 그 경로상에서 처음 12-24시간 동안에 정자를 만나야만 한다. 전형적인 경우 수정은 팽대부와 협부 사이 경계 근처에서 일어난다. 수송기능과 아울러 난관은 지질과 글리코겐을 함유하고 있는 풍부하고 영양이 많은 환경도 제공한다. 이 혼합물은 정자와 발생중인 전배아(pre-embryo) 모두에게 양분을 제공한다. 수정되지 않은 난자는 난관의 마지막 부분이나 자궁 안에서 퇴화된다.

난자형성은 출생 전에 시작해 사춘기에 가속되고 폐경기에 끝난다. 이 기간 중 난자형성은 한 달을 기본으로 하여 일어난다. 남성과는 달리 여성의 간세포인 난조세포(oogonia)는 출생 전에 그들의 유사분열을 완결한다. 사춘기에 이르면 FSH 수준의 상승이 난소주기의 시작을 격발하고 그 후부터 매달 일차 난모세포의 일부는 발생 진행을 수행하도록 자극을 받게 되는데 난소의 수는 출생시 약 2백만 개에서 사춘기에는 약 40만 개까지 감소한다. 난포(ovarian follicle)는 난모세포가 성장하고 제1감수분열이 일어나는 곳으로 난소의 피질에 위치한다. 일차 난모세포들은 백막 근처의 난소 피질 바깥 부분에서 알집(egg nests)이라 불리는 송이 안에서 발견된다. 알집 안의 각 일차 난모세포들은 난포세포로 된 단층의 편평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 조합을 원시난포(primordial follicle)라 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나오는 FSH에 의해 원시난포는 일차난포(primary follicles)로 발전한다. 이들은 반복된 세포분열을 수행하여 난모세포 주위에 몇 겹의 난포세포층을 만드는데 이를 과립막세포(granulosa cells)라 한다. 미세융모는 과립막세포로부터 빠르게 성장하는 난모세포로의 물질 전달에 유용한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원시난포에서 일차난포로의 전환과 그 후의 난포 발달은 FSH 자극 하에서 일어난다. 과립막세포들이 커지고 증식될 때, 난소 지질(stroma) 안의 인접 세포들은 난포 둘레에 난포막세포(thecal cell) 층을 형성한다. 또 난포막세포들과 과립막세포들은 함께 작용해 에스트로젠(estrogens)이라 하는 여성호르몬을 생산한다.

비록 많은 원시난포들이 일차난포로 발달함에도 불구하고, 오직 몇 개만이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난포액은 점차 팽창해 난포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시키는 작은 주머니 안에 축적되는데 이 단계의 복합체를 이차난포(secondary follicle)라 하며 난포액의 축적으로 인해 급속히 커진다. 이는 난소주기의 10-14일째에 이르러 직경이 약 15㎜인 삼차난포(tertiary follicle; 성숙 그라프난포(mature Graafian follicle))를 형성하고 난모세포는 과립막세포 덩어리로 둘러싸인 팽창된 중심 공간, 즉 방(antrum) 안으로 방출된다. 삼차난포의 발생이 완결되면 LH 수준이 올라가고 일차 난모세포는 제1감수분열을 완결한다. 제1감수분열은 2개의 이차 난모세포 대신 이차난모세포 하나와 작은 비기능성 극체 하나를 산출한다. 이어서 이차 난모세포는 제2감수분열에 들어가지만, 일단 중기에 도달하면 다시 멈춘다. 제2감수분열은 수정이 일어나지 않는 한 완결되지 않는다. 배란시에는 팽창된 난포벽이 파열되면서 이차 난모세포와 부채살관을 비롯한 난포 내용물을 골반강 안으로 유리한다. 대부분의 경우 끈끈한 난포액은 난관채와 직접 접하고 있는 난소의 표면에 부채살관이 붙어있게 해주고, 섬모상피에 의해 이루어진 이 액체의 흐름은 이차 난모세포 가 난관으로 운반될 수 있게 한다. 빈 삼차난포는 처음에는 쪼그라들고 이어서 남아있는 과립막세포들이 이 부위로 침입해서 증식해 그 색으로 인해 “황체(corpus luteum)”라는 내분비 구조를 만든다. 이 과정은 LH의 자극 하에 일어난다. 황체 안에 포함된 지질은 프로게스틴(progestins)-주로 프로게스테론-이라는 스테로이드호르몬을 만들며 그 주요 기능은 자궁내막의 발육과 자궁선의 분비를 자극해 임신할 수 있게 자궁을 준비시키는 것이다. 임신이 일어나지 않으면 황체는 배란 후 약 12일 뒤쯤에서 퇴화하기 시작하고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젠 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기능하지 못하는 황체 안으로 섬유모세포가 침입해 백체(corpus albicans)라 하는 창백한 상흔 결절을 만드는 것으로 난소주기는 끝난다.
난소암은 전 여성의 악성종양 중 4-6%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종류변로 구분해 보면 장액낭선암 60%, 점액낭선암 15%, 충실성 미분화선암 10%, 과립막세포종 6%, 미분화배세포종 2%, 기타(남성화 배세포종, 기형종, 중신암)가 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악성 대 양성의 비율은 1 : 4 정도이고, 40세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평균연령은 55세로 보고되고 있다.

병인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다만 BRCA1 유전자를 가진 저수정률의 미산부여성에게서 더 일반적이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가족성 발생빈도와 유방암 여성들에게 증가된 빈도를 나타내는데, 이 빈도 또한 미산과 BRCA1 유전자와 관계가 있다.

난소암을 일으키는 위험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지속적인 배란(ovulation)
- 50세 이상 (폐경 후)
- 임신무경험, 독신, 불임
- 긴 병력의 생리불순
- 높은 사회경제적 상태
- 고지방 식이
- 석면이나 탈크(talc) 등의 산업 화학물질에 노출
- 연구중인 위험요소: 폐경시 연령, 풍진(rubella)이나 볼거리
- (mumps) 의 병력, 난소암의 가족력, 가족크기, 난소기능장애
난소암의 병기분류는 FIGO(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분류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FIGO
Stage
기준

난소에 국한된 종양
Ⅰa
일측 난소에 국한 ; 무복수, 난소표면에 종양이 없으며, 피막이 깨끗
Ⅰb
양측 난소에 국한 ; 무복수, 난소표면에 종양이 없으며, 피막이 깨끗
Ⅰc
Ⅰa기나 Ⅰb기이면서 난소표면에 종양이 있거나 피막이 파열되어 있고, 복수가 있거나 복강내 세척으로 악성세포가 나타날 때
골반내 파급을 동반한 일측 혹은 양측 난소에 국한된 종양
Ⅱa
자궁 혹은 난관으로 파급 혹은 전이
Ⅱb
다른 골반조직으로 파급
Ⅱc
Ⅱa기나 Ⅱb기이면서 일측 또는 양측 난소표면에 종양이 있거나 피막이 파열되어 있고, 복수가 있거나 복강내 세척으로 악성세포가 나타날 때
일측 또는 양측 난소에 종양이 있으면서 골반을 넘어 복강내로 전이하고 / 하거나 후복막 또는 서혜부림프절 양성인 경우. 간표면전이도 이에 속하며 소장과 망에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악성전이와 함께 진골반에 국한된 종양
Ⅲa
조직학적(현미경적)으로 증명된 경우, 림프절은 음성
Ⅲb
경우이지만 그 크기가 2cm 이하, 림프절은 음성
Ⅲc
2cm이상 크기의 종양이 복부에 있으면서 후복막 및 서혜부림프절 양성인 경우
원전이를 동반한 일측 혹은 양측 난소 종양. 만일 흉강삼출액이 있을 경우 Ⅳ기에 속하려면 세포학상 양성으로 나타나야 한다. 간실질전이도 Ⅳ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복수, 복부 또는 골반 통증이나 충만감, 체중감소, 호흡곤란, 소화장애(indigestion) 등의 위장관 불편감, 빈뇨(frequency), 긴급뇨(urgency) 등 요로계 불편감, 생리불규칙, 비정상적 자궁 출혈 등을 들 수 있다.
난소암에 관해 강조될 필요가 있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50%에서 환자가 모르는 상태로 발견되는 점, 둘째, 난소암의 30-50%는 진단시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라는 점과 단지 20%에서만 수술로 완치를 할 수 있는 점, 셋째, 단지 11%의 환자에서만 세포학검사에서 의심할 수 있는 점, 넷째, 임상적 진행도가 이를수록 생존율이 높은 점 등이 있다. 진단 및 검사법은 다음과 같다.
- 양손을 이용한 골반 검진(pelvic examination): 난소의 크기와 모
- 양을 촉지한다.
- 복강경 및 생검(laparoscopy with biopsy): 난소이상 및 악성세포
- 의 유무를 확인한다.
- 임파관조영술(lymphangiography): 후복강내 임파절의 침범을 확
- 인한다.
- Cancer antigen 125(CA-125): 난소암에서 상승하는 종양표지자
- US, CT, MRI, PET, WBBS 등


수술방법으로는 단순 난관난소절제술(simple salpingo-oophorectomy), 완전 복부 자궁절제술(total abdominal hysterectomy) 및 양측성 난관난소절제술 및 부분 또는 완전 대망절제술(omentectomy) 등이 있다. 항암화학요법으로는 Chlorambucil, Melphalan, Doxorubicin, Cyclophosphamide, 5-Fluorouracil, Methotrexate, Vinblastine, Bleomycin, Cisplatin, Nitrogen mustard, Thiotepa, Tetracycline, Paclitaxel(Taxol) 등을 사용한다. 방사선치료는 골반강내 치료법 및 외부조사 등의 방법이 있다.
<靈樞. 水脹篇>에는 "腸覃 ... 寒氣客於腸外, 與衛氣相搏, 氣不得營, 因有所繫, 癖而內著, 惡氣乃起, 患肉內生. 其始生也, 大如鷄卵, 稍以益大, 至其成, 如懷子之狀, 久者離歲, 按之則堅, 推之則移, 月事以時下, 此其候也" 라 하였고, <諸病源候論>에서는 "若積引歲月, 人皆柴瘦, 腹轉大, 遂致死"라 하여 말기 난소암 환자의 惡液質, 腹水, 腫塊 및 예후와 매우 흡사한 증상 및 예후를 서술하고 있다. 병인병기는 寒溫失調, 情志鬱結, 飮食不節, 氣血虧虛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호르몬대사의 장애로 보니 즉 영양물질의 대사과정, 기혈의 순환과정, 스트레스 등에 의해 호르몬의 작용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치료는 이를 총괄하는 腎藏精, 肝主疏泄에 중점을 두어 시행하게 된다. 변증은 濕熱蘊結證(淸熱解毒湯加減), 氣滯血瘀證(逍遙散合桃紅四物湯化裁), 痰濕凝聚證(健脾散結湯加減)으로 구분하며 주로 사용되는 항암본초로는 半枝蓮, 半邊蓮, 白花蛇舌草, 龍葵, 莪朮, 核桃樹枝, 乾漆, 蛇?, 斑猫, 山慈?, 巴豆 등이 있다. 이중 특히 다용하는 약물이 옻으로 알려진 乾漆인데 이를 이용한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醫學切問>의 三稜丸이 있다.
구성 : 삼릉, 대황, 건칠초, 파두거피유, 뇌사 각 1량
효능 : 五積六聚, 七?八?를 다스리며, 모든 瘀血을 풀고 모든 氣를 내린다.

또 파두를 이용한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太平惠民和劑局方>의 溫白丸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성 : 천오, 2냥반, 시호, 오수유, 길경, 창포, 자완, 황련, 포건강, 육계, 복령, 인삼, 촉초, 후박, 조협, 파두 각반냥
주치 : 心腹積聚, 久?癖塊, 등
식이요법으로 중요한 것은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식품으로 대표적인 것이 에스트로겐의 3가지 중 estron, estradiol 을 함유한 석류, 이소플라빈 함유량이 높은 콩제품, 곡류, 섬유소, 아마인, 딸기와 종실류 등을 들 수 있다.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교수
한의학박사 유화승
 
프로필
-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한의학박사)
- 대전대학교부속 한방병원 전문수련의과정 수료(한방내과전문의)
- 중국 중의연구원 산하 북경 광안문병원 종양과 연수
- 중국 상해중의약대학 부속 용화병원 종양과 연수
- 국립암센터(NCC) 생명과학최고연구자과정 이수
- 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동서암센터 교수
-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암한의학회 학술이사
-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약침학회 학술위원
Tel) 042-470-9132(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7내과 외래)
동서암센터 홈페이지 : www.ewcc.kr
이메일 :